한국의 갯벌

한국의 갯벌등재기준

등재기준 (x) 생물다양성 및 멸종위기종의 서식지

과학이나 보전의 관점에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는 위협에 처한 종의 서식지를 포함하여 생물다양성의 현지 내 보전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의미있는 자연 서식지를 포함한다.
등재기준 부합성

인간을 포함한 수많은 생물들의 삶의 공간이자 서식지이며, 특히 호주, 뉴질랜드에서 시베리아, 알래스카까지 철새의 대여정 중 유일한 휴식지이자 중간 기착지

멸종위기종 및 고유종

세계자연유산 「한국의 갯벌」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를 이용하는 이동성 물새의 긴 여정 중, 병목에 위치한 중간기착지로서 국제적 중요성*을 갖고 있다.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로 이용 물새 총 250종 중 101종(40.4%), 도요물떼새 63종 중 47종(74.6%) 이러한 물새들 가운데에는 전 세계에 400~600개체만 존재하는 멸종위급종인 넓적부리도요를 비롯하여 IUCN 적색목록에 포함된 27여종의 국제적 위협종이 포함된다.

또한 「한국의 갯벌」은 갯게, 붉은발말똥게, 흰발농게, 대추귀고둥과 같은 멸종위기 해양무척추동물과 황해 고유종인 범게를 포함한 고유종 47종을 부양하고 있어 저서생태계의 멸종위기종과 고유종에게도 중요한 서식처로서 역할하고 있다.

  • 넓적부리도요
    넓적부리도요(CR)
  • 저어새
    저어새(EN)
  • 알락꼬리마도요
    알락꼬리마도요(EN)
  • 흑두루미
    흑두루미(VU)
CR등급 넓적부리도요
EN등급 저어새, 알락꼬리마도요, 청다리도요사촌, 붉은어깨도요, 황새, 등
VU등급 개리, 흰죽지, 노랑부리백로, 흑두루미, 재두루미, 검은머리갈매기 등

생물종의 다양성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지역은 펄‧모래‧혼합갯벌 이외에도 암반서식지, 사취, 사구, 특이퇴적체와 같은 지구 상에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갯벌 서식지를 포함하고 있다. 다양한 서식처가 존재하는 유산지역에는 저서규조류 375종, 해조류 152종, 대형저서동물 857종, 염생식물 55종, 어류 54종, 물새 137종 등 총 2,169여종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강 등을 통해 많은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는 갯벌 퇴적물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생산량(215.7㎎/㎡)을 보이며, 저서규조류, 해조류, 대형저서동물의 종다양성 또한 전 세계 최고 수준이다.

구분 서천갯벌 고창갯벌 신안갯벌 보성·순천갯벌
**기초생산량 평균 81.0㎎/㎡ 평균 67.6㎎/㎡ 평균 52.2㎎/㎡ 평균 66.8㎎/㎡
저서규조류 181종***우점종: 갯돌말류, 보리돌말류, 쪽배돌말류 등 194종***우점종: 도관돌말류, 보리돌말류, 체돌말류, 시크로텔라류 등 224종***우점종: 땅콩돌말류, 등침돌말류 등 188종***우점종: 쪽잎돌말류, 갯나선돌말류, 끈원반돌말류 등
대형저서동물 181종***우점종: 큰 동죽, 개량조개, 갯지렁이류, 옆새우류 등 255종 568종***우점종: 고리버들갯지렁이, 띠조개, 두토막눈썹참 갯지렁이 등 445종
염생식물 27종 25종 52종 24종
해조류
(대형조류)
49종 9종 144종 23종
물새류 100종 89종 86종 102종
위협종 IUCN 적색목록 23종, 멸종위기 무척추동물 3종※ 넓적부리도요(CR), 알락꼬리마도요(EN), 검은머리물떼새(천연기념물 제326호)의 국내 최대 서식처 IUCN 적색목록 21종, 멸종위기 무척추동물 1종※ 황새(EN)의 국내 최대 월동지 IUCN 적색목록 17종, 멸종위기 무척추동물 2종 IUCN 적색목록 27종, 멸종위기 무척추동물 5종※ 흑두루미(VU)의 국내 최대 월동지
고유종 19종 23종 및
황해 고유종 범게
35종 19종

**기초생산량 : 단위면적당 유기물의 양

***우점종 : 생물군집에서 군집 전체의 성격을 결정하고, 군집을 대표하는 종